약초 건강 /한글동의보감

보양약-추위을 못시타는것 허리무릎다리에힘이없는것

태산4 2017. 11. 4. 09:38

보양약

보양약은 양이 모자란 병증에 쓰인다,

양허증의 일반 증상으로는 추위를 몹시 타는것,

허리와 무릎,다리에 힘이 없는것,

배가 아프거나 설사하는 경향이 있을때,

오줌이 자주마려운 야뇨증,음위증,유정,몽설 등에 쓰이는 약을 말한다.

 

산수유

산수유나무과

10-11월에 여문 열매를 약한 불에 말려 쓴다.

오줌소태, 유정,음위증,식은땀이 나며 숨이 가쁘고 맥이 미약한때 쓴다,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맥이 없는데,

신경이 허하고 차서 허리가 시리고 아픈데,

이명,코막힘등에 쓴다

 

 

 

 

 

토사자_새삼 또는 갯실새삼

새삼과 1년생 덩굴풀

여문씨를 약으로 쓴다

보약이며 성신경 자극약, 음위증, 신경쇠약, 유정, 몽설, 생리불순, 오줌소태, 오랜설사, 귀앓이, 눈이어두운데, 현기증,습 관성 유산등에 쓴다

 

 

 

 

육종용_더부살이과

줄기를 햇볕에 말린것을 담종용이라하고

가을에 채취하여 소금에 절인것을 염종용이라한다

봄가을에 채취하는데 3-5월에 채취한것이 제일 좋다.

전신강장약,성기능자극약으로 음위증,불임증,생리불순,봉루,허리와부릎이 시리고 아픈데쓴다, 노인이나 허약체질자가 피가말라 변이 굳은데 쓴다. 

 

 

 

해구신_물개의 생식기를 말린것이다

성신경자극 보약이다. 음위증, 허약체질,신경쇠약,건망증등에 쓴다

 

 

 

 

 

 

복분자_장미과 

여름에 익기 시작하는 열매를 따서 그대로 혹은 증기에 쪄서 말린다.

남성의 정액부족,여성의 자궁병으로 인한 불임증에 쓴다

신허로 오는 음위증, 유정, 몽설, 오줌소태,야뇨증에 좋다.

 

 

 

 

 

속단_꿀풀과 다년생초

 뿌리를 캐어 줄기와 잔뿌리를 다듬어 씻고 햇볕에 말려 약으로 쓴다. 

진통약으로 골절, 타박상, 류마티스성 관절염, 각종신경통, 습관성 유산,출혈성 자궁증, 월경 과다등에 쓴다

 

 

 

 

 

보골지_콩과 1년생초  열매를약으로 쓴다

비장을 덥게하여 설사를 멈춘다, 방광을 덥게하여 오줌량을 줄인다, 뼈를 튼튼하게하여 허리힘을 세게한다. 양기를 돕고 정을 보강한다.

 

 

 

음양곽_매자나무과 다년생초

보약이며 강장성 신경흥분약

음위증,불임증,불기증에 쓰는데 일반 신경쇠약,히스테리 건망증,무력증,월경장애.이명,현기증등에도 쓴다.

 

 

 

 

 

녹신_사슴의 음경과 고환을 잘라 고기와 지방을 떼버리고 나무판에 고정시켜말린것이다

신기를 보하며 허로손상을 낫게한다. 양기보강,허리힘을 세게하며,젖을 잘나오게한다.

 

 

 

 

 

두충_두충나무과  고무질인 나무껍질을 약으로쓴다

고혈압치료약,  진정약, 진통약이며 보약이다.

요천신 경근염, 신경통, 만성적인 요통,습관성 유산 등에 쓴다

 

 

 

 

익지인_생강과 다년생초  익은열매,주로 씨를 약으로 쓴다

신경쇠약,건망증,불면증,심장신경증,야뇨증,오줌소태,요실금,만성적인 설사에 쓴다

 

 

 

 

호로파_콩과 1년생초  여문씨를 약으로 쓴다

신양이 모자란데서 오는 오줌소태,오줌을 누지 못하는데 쓴다.

배가 끓으면서 아픈데, 산증,각기에 쓴다.

 

 

 

 

 

 

녹용_숫사슴 또는 마록(누렁이)의 갓자란 뿔을 채취 가공하여 말린것

성신경자극,남성허약자, 몸이 여윈때, 만성소모성질병, 음위증, 심장기능저하,만성호흡기질병,신경쇠약,저혈압,근무력증,자반병,출혈성질병,빈혈,

녹각_지혈약, 만성소모성질병의 회복기,심장기능저하,신경쇠약,발육부진,자반병을 비롯한 출혈성질병,빈혈과 현기증, 야뇨증, 유정,몽설,심혈,과로로인한 허탈.

녹각상_민성소모성질병의 회복기,성기능저하,신경쇠약,장결핵,만성소대장염,소화불량증,식욕부진,여러가지 출혈성 질병

 

 

 

 

 

 

해마_바다생물 내장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약으로 쓴다

음위증,야뇨증, 허천에 쓰며 기,혈을 잘 돌게 한다.

 

 

 

 

 

 

합개_척추동물파충류 전체를 다쓰지만 효과는 꼬리부분이 더 맣다

양기허약으로 오는 음위증, 유정, 몽설에 쓰며, 폐가 약한 데서 오는 기침, 가래,호흡곤란 등에 쓴다.